전승일 작가 aniexe@daum.net | 진경산수, 비로소 조선 땅의 아름다움을 그리다!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를 필자가 미디어아트 작업을 위해 부분 재구성했다. <금강전도> 이미지는 자유이용저작물(public domain)이다. <금강전도>(金剛全圖)는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이 1734년(영조 10년)에 내금강의 실경을 직접 보고 그린 우리나라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표적인 걸작이다. 수묵담채로 그렸으며 그림의 크기는 가로 94.5cm, 세로 130.8cm이고, 국보 제217호로 지정되어 있다. 내금강은 금강산의 서부지역으로 비로봉이 주봉을 이루며 기암절벽과 폭포들이 조화되어 아름다운 자연미와 계곡미를 펼쳐 보인다. 내금강은 8개 탐승구역으로 나눈다. 정선은 입구인 장안사부터 비로봉까지 샅샅이 탐승하고 한 화면에 재배치하여 그렸다. <금강전도>는 원형구도를 이루고 있고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부감시(俯瞰視) 그림이다. 오른쪽의 바위봉우리들은 내리긋는 수직준법을 사용하여 거칠고 날카로운 느낌으로 표현했고, 왼쪽 나무숲과 토산은 미점준으로 부드럽게 그렸다. 화면 중심에는 만폭동 계곡이 위
전승일 작가 | 경이로운 우리 시대의 가객(歌客), 김민기 선생님께서 영면하셨다. 나는 어제 부고를 듣고 거의 하루 종일 아무 일도 하지 못한 채 유튜브를 띄워 놓고 그의 노래만 반복적으로 들었다. SNS의 추모 열기도 그 어느 때보다도 뜨겁다. 아마 그의 노래에 대한 경험과 감동 지점이 그만큼 폭이 넓다는 의미일 것이다. 내게 김민기 선생님은 같은 미술대학 선배님이지만 실제로 뵌 적은 없다. 그는 미대생이었으나 노래를 만들었고, 대학생이었으나 노동자·농민이 되어 그 안에서 예술을 했다. 그는 1집 음반을 만든 싱어송라이터였으나, 공연 기획자로 변신하여 <학전>이라는 위대한 역사를 만들었다. 그는 수많은 예술인들을 양성했지만, 스스로는 무대 뒤의 ‘뒷것’이 되었다. 그는 이유도 모른 채 보안사에 끌려가 고문을 당했다. 노래를 잘 만든다는 죄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는 오히려 고문하는 그들을 걱정했다고 한다. 나 때문에 죄를 짓고 있구나... 하면서.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나는 국가폭력에 대들고 싸우고 있지만, 그분은 자신의 상처로 새겨 넣으신듯 하다. 나는 전두환 군사독재 시절인 1981년에 고등학교에 입학했는데, 나같이 ‘엉뚱한 녀석’들과 ‘
전승일 작가 | 두 살 때 소아마비 진단을 받고 평생을 소아마비 증후군을 안고 살았던 장애 연구가 토빈 시버스(Tobin Siebers, 1953~2015) 교수는 저서 <장애 미학(Disability Aesthetics)>(2008)을 통해 “장애는 미래 발전에 작동하는 중요한 미적 가치”라고 하면서 “장애는 현대예술에서 결함이나 퇴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장애는 인간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넓혀주며, 미학의 역사에서 기존의 가정들을 실험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장애는 현대미학에서 필수적이다.”라고 하였다. 인간에게 장애는 무엇인가? 토빈 시버스에 따르면 장애는 미적 인식을 확장시키고 다양화하며, 장애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예술적 아이디어와 대상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제 예술가들은 장애미학을 끌어안고 근본적인 미적 전제 조건들에 물음표를 던질 필요가 있다. 장애는 신체적·정신적 결함이 아니라 인간의 본질적 정체성이며, 장애미학은 손상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유럽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장애경험을 바탕으로 장애인이 만들어내는 장애예술(Disability Arts)이 사회적으로 공론화되었
전승일 작가 | 편집자주 : 2023년 1월 시작하여 28점의 그림을 연재한 <전승일의 생각그림>을 <전승일의 AI 아트>로 컨셉을 바꾸어 새로운 연재를 시작한다. 예술은 인간의 생각과 감성, 사유와 사상의 반영이다. 그런데 플랫폼 자본주의와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예술과 콘텐츠의 개념, 형태, 소통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전승일의 AI 아트>는 ‘생성 AI 시대의 대안적 예술담론’을 탐구하고자 한다. AI를 반대하는 시각예술가들 위 사진은 미국의 경제언론 포브스(Forbes)지에 게재된 롭 살코비츠(Rob Salkowitz)의 기고문 <AI Is Coming For Commercial Art Jobs. Can It Be Stopped?(AI상업예술, 멈출 수 있을까?)>에 실려 있는 이미지이다. 롭 살코비츠는 <Comic-Con and the Business of Pop Culture>의 저자로서 만화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알려진 아이스너 상(Eisner Awards) 후보에 오른 저널리스트이자 대학 교수이다. 롭 살코비츠는 “텍스트를 이미지(Text to 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