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06년생이라면 서두르세요!' 15만 원 지원 '청년 문화예술패스' 추가 발급 시작

URL복사

상반기 미사용분 환수 통해 추가 기회 제공
11월 30일까지 지역별 선착순 접수

 

뉴스아트 편집부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와 함께 올해 19세가 되는 2006년생 청년들을 대상으로 1인당 최대 15만 원의 공연·전시 관람비를 지원하는 '청년 문화예술패스'의 추가 발급을 7월 7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청년 문화예술패스'는 청소년기를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보내며 문화예술을 직접 체험할 기회가 적었던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발견하고 미래의 문화 관객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된 사업이다.

 

이번 추가 발급은 지난 상반기(3월 6일~5월 31일)에 패스를 발급받고도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청년들의 지원금을 환수해, 신청 시기를 놓쳤거나 망설였던 청년들에게 다시 한번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누가, 어떻게, 어디서 사용하나?

 

신청 대상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200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출생한 청년이다. 단, 상반기에 이미 패스를 발급받은 이력(사용 여부 무관)이 있는 청년은 다시 신청할 수 없다.

 

신청은 '청년 문화예술패스' 공식 누리집(youthculturepass.or.kr)을 통해 가능하며, 기간은 11월 30일까지다. 다만 전국 17개 시도별로 정해진 예산 내에서 선착순으로 발급되기 때문에, 거주 지역의 신청 현황에 따라 조기에 마감될 수 있어 빠른 신청이 요구된다.

 

패스를 발급받으면 '놀티켓(구 인터파크)'과 '예스24'의 예매 시스템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15만 원 상당의 포인트가 지급된다. 이 포인트는 연극, 뮤지컬, 클래식·오페라, 발레·무용, 국악, 전시 등 순수예술 장르의 티켓을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기한은 올해 12월 31일까지다.

 

청년들의 뜨거운 관심 입증... 추가 혜택도 풍성

 

'청년 문화예술패스'는 지난 상반기 1차 발급 당시 약 12만여 명이 신청해 최종 발급률 76.9%를 달성하는 등 청년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입증했다. 또한,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8.4%가 '패스가 향후 문화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해 정책의 실효성과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응해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등 국립문화예술단체와 대구광역시 등 10개 지방자치단체 및 공립 문화예술기관들은 패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추가 관람권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국립발레단의 '인어공주', '지젤', '호두까기 인형' ▲국립오페라단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뉴욕의 거장들전' 등 올 하반기 주요 기대작들을 더욱 저렴하게 관람할 수 있는 기회다.

 

문체부는 패스 이용을 독려하기 위한 다채로운 이벤트도 마련했다. 패스로 첫 예매를 한 청년 100명을 대상으로 하는 '첫 예매 이벤트'(~7/13)와 SNS를 통해 패스 사용 후기와 정보를 공유할 '온라인 홍보 서포터스 모집'(~7/16) 등을 진행한다. 향후에는 지역 공연장과 연계한 무대 뒤 탐방(백스테이지 투어) 등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행사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정우 문체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이번 추가 발급을 통해 여름방학과 휴가 기간을 맞은 청년들이 일상에서 부담 없이 문화예술을 즐기고, 이를 통해 공연·전시장에도 활기가 더해지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청년들의 수요를 세심하게 반영해 문화 향유 기회를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지원 대상: 2006년 1월 1일 ~ 12월 31일 출생 대한민국 청년 (※상반기 기발급자 제외)

  • 지원 내용: 공연·전시 예매 전용 15만 원 포인트 지급

  • 신청 기간: 2025년 7월 7일(월) ~ 11월 30일(토)

  • 신청 방법: 청년 문화예술패스 공식 누리집(youthculturepass.or.kr)에서 온라인 신청

  • 주의 사항: 전국 17개 시도별 예산 내에서 선착순 마감

  • 사용처: 놀티켓, 예스24 홈페이지 및 앱

  • 사용 기한: 2025년 12월 31일(화)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