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아트 편집부 | 삼각전파사가 정규 1집 『Dystopia 2025』의 티저 영상을 18일 공개했다. 박치치 감독이 연출한 이번 영상은 앨범의 핵심 메시지와 음악적 정체성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2015년부터 독특한 행보를 이어온 실험전자음악가 삼각전파사는 이번 앨범에서 전통적인 민중음악의 정치적 서사와 실험전자음악의 급진적 음향 미학을 결합했다. 앨범에는 총 10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젠트리피케이션, 산업재해, 군사기지 건설 등 한국 사회의 현안을 다룬다.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이번 앨범에 대한 기대가 높다. 1980년대 민중가요가 통기타와 장구로 시대의 아픔을 노래했다면, 삼각전파사는 전자음으로 2025년의 현실을 해부하는 시도를 통해 한국 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다. 앨범의 첫 번째 트랙 '땅거미 Z다'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쫓겨나는 세입자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왜곡된 신디사이저와 날카로운 전자음으로 도시 재개발의 폭력성을 표현한 이 곡은 앨범의 정체성을 잘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민중음악의 시선 전환이다. 통일, 민족, 민주화 같은 거대 서사 대신 우리 주변의 절박한 현실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고 김용균 노동자를 기억하는
뉴스아트 편집부 | 2025년 봄, 도시 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을 위한 숲 치유 프로그램 '빛과 그늘'이 4월부터 5월까지 진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숲 체험을 넘어 자연의 소소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관찰하는 생태 예술 활동으로, 참가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으로 자연을 바라볼 기회를 제공한다. '빛과 그늘'은 음악가로도 활동하는 숲해설가 이서영이 이끄는 프로그램으로, 두 시간 동안 진행되며 "오래된 동화책을 읽듯 할 수 있는 만큼 숲을 읽어드린다"는 콘셉트로 참가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특히 이번 봄 프로그램에서는 관찰도구 루페와 아티스트 조호, 유 작가와 협업하여 제작한 관찰 노트 및 '숲과 친해지는 방법' 엽서를 포함한 특별 패키지를 증정하는 점이 눈에 띈다. 프로그램을 주최하는 이서영은 "빛이 들어오는 곳에서, 그늘진 구석에서 생명체들이 어떤 모양으로 살아가고 있는지 귀 기울여 보고 가까이 들여다보는 시간을 갖고 싶다"며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했다. 그는 자신을 소개하며 "음악가로 살기도 하고 숲해설가로 살기도 한다. 두 직업의 성수기와 비수기가 비슷한 탓에 어느 때는 지나치게 바쁘고 다른 때는 한가하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사)숲연구소에서 숲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