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경하 | 재즈 베이시스트이자 작곡가 정수민이 그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 [잔해 (Remnants)]를 들고 돌아왔다. "남은 것들을 정리했다. 사라진 것, 남겨진 것, 그 사이 어딘가에 있던 것들. 기억은 정확하지 않고, 감정은 오래 가지 않는다. 이건 그냥, 그 이후의 소리다." 앨범을 여는 이 짧은 글귀는, 데뷔 이래 줄곧 사회의 소외된 풍경과 인간 내면의 깊은 감정을 탐구해온 그가 도달한 새로운 음악적 경지를 암시한다. 이번 앨범은 사건의 중심이 아닌 그 주변부, 폭풍이 아닌 그 후의 고요함, 기억이 아닌 기억의 흔적을 소리로 그려내는 깊은 사색의 공간이다. 베이스를 든 철학자, 시대를 연주하는 베이시스트 정수민은 현대 한국 재즈 씬에서 가장 뚜렷한 자기 언어를 가진 아티스트 중 한 명이다. 그는 콘트라베이스라는, 묵묵히 뒤를 받치는 역할에 머무르기 쉬운 악기를 전면에 내세워 시대와 인간에 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져왔다. 그의 철학은 2018년 데뷔 앨범 [Neo-liberalism]에서부터 선명했다. 강남의 마지막 판자촌 '구룡마을'의 주소를 딴 '강남 478'과 같은 곡을 통해 젠트리피케이션의 상처와 도시의 비정한 이면을 서정적인 재즈 선율로 담아
황경하 기획자 (hwangtab@gmail.com) 완벽의 표면 아래, 균열을 통해 응시하는 세계 어떤 음악은 듣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경험한다'고 말해야 옳다. '하루살이 프로젝트'의 두 번째 앨범 『하루살이 프로젝트 2: 알 수 없는 느낌』은, 디지털 시대의 매끈한 표면에 발생한 하나의 균열과도 같다. 그 틈새로 우리는 익숙한 소리의 잔해와 잊혔던 감각의 파편, 그리고 완벽함이라는 현대적 신화가 붕괴된 자리를 목도하게 된다. 이것은 스트리밍 플랫폼의 플레이리스트와 청취의 효율성을 지배하는 알고리즘의 폭정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이자, 의도적으로 오염된 데이터와 실패한 사운드 속에서 가장 진솔한 '실재'를 길어 올리려는, 위험하고도 매혹적인 예술적 탐사이기도 하다. 소음의 고고학과 키치의 전복적 미학 이 프로젝트에서 아티스트는 전통적인 의미의 작곡가나 연주자를 넘어, 소리의 고고학자이자 음향적 부조리극을 연출하는 감독으로 기능한다. 그의 사운드 팔레트는 최첨단 가상악기의 광택 대신, 우리 주변의 디지털 폐허 속에 잊힌 소리들과 쇄설물들로 채워져 있다. 2번 '사람생각'에서 질주하는, 마치 고장 나기 일보 직전의 앰프에서 터져 나오는 듯 건조하고 값싼 퍼즈